갑자기 부담되는 커피값, 홈카페로 대체 가능할?

아침마다 카페에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한 잔씩 사 마시는 것이 습관이 된 분들이 많을 겁니다. 하지만 요즘 커피값이 너무 올랐습니다.

한때 1,500~2,000원이면 마실 수 있었던 아이스 아메리카노가 이제는 기본 2,500원에서 3,500원, 심지어 프랜차이즈 카페에서는 5,000원이 넘는 경우도 흔합니다.
“저가 커피 브랜드가 많아졌으니 아직은 괜찮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매일 한 잔씩만 마셔도 한 달에 6만 원, 하루 두 잔이라면 12만 원 이상이 커피값으로 그대로 나가버리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카페에서 매일 사 마시는 대신 집에서 직접 내려 마시면 어떨까요?
요즘 홈카페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막상 시작하려 하면 어떤 장비가 필요한지, 원두는 어떻게 골라야 하는지 고민이 많을 수 있습니다.

홈카페를 처음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건 “내가 과연 꾸준히 내려 마실 수 있을까?” 하는 현실적인 고민과 함께, 정말 돈을 절약할 수 있는지 계산해 보는 것입니다.

오늘은 제가 1년 동안 직접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내려 마셔본 경험을 바탕으로,
홈카페를 시작하는 것이 정말 경제적인지
초보자가 쉽게 시작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비
집에서 커피를 내려 마시는 게 얼마나 번거로운지
등을 솔직하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과연 홈카페는 커피값 절약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 홈카페 vs 저가 커피 (원두 가격)

홈카페를 시작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커피값을 절약할 수 있느냐에 대한 기대감입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원두를 사서 내려 마시는 것이 카페에서 사 마시는 것보다 얼마나 저렴할까요?

제가 직접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내려 마셔본 결과, 한 잔을 만들 때 사용되는 원두의 무게는 약 25g 정도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원두 가격을 계산해보겠습니다.

현재 쿠팡에서 가성비 좋은 원두를 찾아보면, 2kg(2,000g) 기준 46,600원 정도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 원두로 만들 수 있는 커피의 개수를 계산해 보면:

  • 2,000g ÷ 25g = 80잔 (약 80잔 분량)
  • 46,600원 ÷ 80잔 = 1잔당 약 582원

즉, 원두값만 고려했을 때, 아이스 아메리카노 한 잔을 600원도 안 되는 가격에 만들 수 있습니다.
저가 커피라고 주장하는 커피를 카페에서 한 잔에 2,500~5,000원을 내고 마시는 것과 비교하면 최소 4배 이상 저렴한 셈이죠.

물론, 여기에 물, 얼음, 필터, 전기비 등의 부가적인 비용이 추가될 수 있지만, 기본적인 원두값만 놓고 보면 홈카페는 확실히 경제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원두값 외에 추가적인 비용과 장비 투자까지 고려하면 홈카페가 여전히 이득일까요? 다음으로 필수 장비와 그 비용을 살펴보겠습니다.

2. 홈카페 필수 장비까지 생각해도 이득일까? 초기 비용

홈카페에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만들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에스프레소 샷을 추출할 수 있는 머신입니다. 시중에는 다양한 에스프레소 머신이 있지만,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에게는 사용법이 간단하면서도 가성비 좋은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에스프레소 추출기

아무리 우리의 목표가 초저가로 커피를 마시고자 함이지만, 어느 정도 맛은 보장하는 커피를 마셔야 합니다. 맛을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면, 물에 녹여 먹는 스틱 커피의 가성비를 이길 수 있는 방법은 없기 때문이죠. 여기서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요, 직접 원두를 사서 갈아서 샷을 내려 먹는 방식과 간편하게 캡슐로 된 제품을 사서 먹는 방식이죠. 제 개인적인 추천으로는 원두를 사서 갈아서 내려 마시는 방식입니다. 해당 방식은 어떠한 원두를 사더라도 내려 마실 수 있고, 가격 또한 가장 저렴한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캡슐형 제품들은 기기 호환 문제도 있고, 가격적인 측면에서 크게 유리한 방법은 아닐 수 있기 때문입니다.

캡슐 커피 vs 갈아서 내려 마시기 에서 더 자세한 비교를 해 보았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입문자로서, 최소한의 맛 보장과 낮은 초반 가격대를 모두 갖춘 제품을 소개하겠습니다.

입문자용 머신으로 가장 추천할 만한 제품은 드롱기 ECP35.31 반자동 에스프레소 머신입니다. 이 제품은 15바(bar) 압력을 지원해 카페에서 마시는 것과 유사한 에스프레소 샷을 추출할 수 있으며, 반자동 방식이라 초보자도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팀 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아이스 아메리카노뿐만 아니라페라떼나 카푸치노 같은 메뉴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가격은 약 23만 원대로, 본격적으로 홈카페를 시작하려는 분들에게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입니다.

만약 반자동 머신이 어렵거나 관리가 부담스럽다면, 캡슐 머신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일리 프란시스 Y3.3은 콤팩트한 디자인과 간편한 사용법으로 많은 홈카페 입문자들에게 사랑받는 제품입니다. 이 모델은 별도의 원두 분쇄나 머신 세척이 필요 없고, 버튼 한 번만 누르면 에스프레소 샷을 쉽게 추출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가격도 약 15만 원대로, 반자동 머신보다 저렴하면서도 깔끔한 사용감을 원하는 분들에게 추천할 만한 제품입니다.

어떤 머신을 선택하든,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히 사용할 수 있는지입니다. 반자동 머신은 조금 더 깊이 있는 홈카페 경험을 제공하지만,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반면, 캡슐 머신은 편리하지만 캡슐 가격이 추가 비용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비용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로 필수적인 장비, 커피 그라인더-가성비 추천 모델

홈카페에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만들기 위해서는 원두를 직접 분쇄할 수 있는 커피 그라인더가 필요합니다. 아무리 좋은 원두를 사더라도 분쇄 상태가 일정하지 않으면 에스프레소 추출이 제대로 되지 않고, 맛도 균일하지 않게 나올 수 있기 때문인데요. 특히, 에스프레소 머신을 사용할 경우에는 고운 입자의 분쇄가 필수적이므로, 이에 적합한 그라인더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실 아주 딥하게 들어가면, 커피 맛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원두와 그라인드 상태입니다. 진짜 고수들은 에스프레소 추출기보다도 그라인더와 원두에 가장 많은 신경을 쓴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번 글의 목표는 저처럼 처음 홈카페를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입문 가입니다. 그러니 두 가지만 기억하면 되는데요. 전동 제품을 고를 것, 그리고 가성비가 좋은 제품을 고를 것. 처음부터 수동 그라인더를 사게 되면, 커피를 내리는 과정이 귀찮아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결국 며칠 쓰다 포기하고, 다시 카페에서 커피를 사 마시게 될 확률이 아주 높아지게 됩니다. 제 이야기였습니다…

입문자용 그라인더로 가장 추천하는 제품은 위즈웰 전동 커피 그라인더입니다. 가격이 2만 원대로 저렴하면서도, 에스프레소용으로 곱게 분쇄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게다가 크기가 작아 자취방이나 작은 주방에서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버튼 하나만 누르면 원두가 갈리기 때문에 조작도 매우 간편합니다. 이 정도면 홈카페 입문용으로 충분합니다.

만약 더 정밀한 분쇄도 조절이 가능한 제품을 원한다면, 브레빌 스마트 그라인더 프로 같은 고급형 모델을 고려해볼 수도 있긴 합니다. 이 제품은 에스프레소뿐만 아니라 핸드드립, 프렌치프레스까지 다양한 방식의 커피 추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32만 원대로 상당히 비싼 편이라, 처음부터 선택하기에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정도 가격대의 장비를 고민하게 되는 시점이라면, 이미 커피 맛에 대한 욕심이 생긴 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처음에는 저렴한 전동 그라인더로 시작하고, 홈카페가 어느 정도 자리 잡힌 후에 더 좋은 제품을 찾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 겁니다.

필수까지는 아니지만.. 있으면 엄청 잘 쓴다-제빙기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마시려면 얼음이 필수입니다. 처음에는 냉동실에서 얼음을 얼려 쓰면 되지 않을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써보면 얼음이 너무 빨리 떨어진다는 걸 깨닫게 되고, 안 그래도 커피를 사 마시는데 익숙해서 금방 다시 카페를 방문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겁니다. 냉동실 얼음 틀은 얼음을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무엇보다 너무 귀찮습니다. 홈카페를 제대로 시작해보고 싶다면, 제빙기를 하나 사 두는 것이 엄청 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에 얼음물을 마음껏 마실 수 있게 되서 개인적으로 엄청 좋았습니다.

제빙기를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얼음을 얼마나 빨리 만들 수 있는지이긴 합니다. 하지만 요즘 나오는 가정용 제빙기의 성능이 다 좋아서 가격대만 저렴하게 맞추어서 구매하면 오래오래 쓸 수 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제품들은 한 번에 10kg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제품도 많아서 충분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입문용으로 추천하는 제품은 쿠쿠 미니 제빙기 이다. 가격이 10만 원대로 부담스럽지 않고, 크기가 작아 자취방이나 작은 주방에서도 사용하기 좋습니다. 얼음이 만들어지는 속도도 빠른 편이라 약 10분 안에 얼음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물을 넣고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얼음을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법도 직관적이고 간단합니다. 얼음 보관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일정 시간 동안 얼음이 녹지 않도록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3. 홈카페 장비 총 비용은?

그럼 가장 중요한 내용인데요, 초기 비용까지 모두 고려했을 때 과연 홈카페가 저렴한지 꼼꼼하게 비교해보겠습니다.

장비제품 추천가격
샷 추출기드롱기 ECP35.31 반자동 에스프레소 머신23만 원
커피 그라인더위즈웰 전동 커피 그라인더3만 원
제빙기쿠쿠 미니 제빙기16만 원
총합약 42만 원

초기 투자 비용: 약 42만 원
초저예산(캡슐 머신 + 얼음 트레이)으로 시작하면 16만 원대 가능


결론: 홈카페, 과연 경제적인 선택일까?

홈카페를 시작하려면 초기 투자 비용이 40만 원 이상 들 수 있지만, 원두값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 훨씬 저렴합니다.

카페에서 사 마시는 경우
✔ 하루 1잔 = 2,500원 → 한 달 7.5만 원 → 1년 90만 원
✔ 하루 2잔 = 5,000원 → 한 달 15만 원 → 1년 180만 원

홈카페에서 내려 마시는 경우
✔ 하루 1잔 원두값 = 582원 → 한 달 1.7만 원 → 1년 20.9만 원
✔ 하루 2잔 원두값 = 1,164원 → 한 달 3.5만 원 → 1년 41.8만 원

즉, 약 3~6개월만 지나면 초기 투자 비용을 회수할 수 있고, 그 이후로는 카페보다 훨씬 경제적인 선택이 됩니다.

다만, 홈카페를 유지하려면 커피를 직접 내려 마시는 습관을 들일 수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이런 점들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3개월에서 6개월만 지나게 되면 초기 투자 비용인 40만원을 모두 만회하고, 그 이후로 잔당 1000원의 돈을 아낄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커피를 계속 마시게 되면서 나만의 취향대로 커피의 진함이나 맛도 내 취향에 맞추어서 마실 수 있게 되니까, 저렴하면서도, 내 입에 딱 맞는 커피를 찾을 수 있게 되서 꽤나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답글 남기기